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시험정보

토목기사 시험과목 및 공부방법 제대로 보기

by 편함그자체 2024. 8. 14.
반응형

토목산업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그만큼 토목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전문인력 또한 끝없이 필요로 하는 상황인데요. 하지만 이 토목분야가 워낙 전문성이 높은 분야다 보니 단순히 열정만 갖고는 일할수가 없고 확실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데요. 

이런 부분을 검증할 수 있는 자격증이 바로 토목기사 자격증입니다.

 


하지만 토목기사 시험 난이도가 만만치 않다 보니 자격증 취득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은데요.
최근 몇년 간의 통계를 보게 되면 이 부분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가 있답니다.

필기시험 기준으로
2022년 응시자 10,774명 중 합격자는 2,963명, 합격률은 27.5%였고요.
2023년 응시자 11,752명 중 합격인원은 23,477명으로 합격률은 29.6%였습니다.
필기시험의 경우 10명 중 2~3명만이 합격하고 있는 건데요.

이렇게 힘들게 합격한 후에는 토목기사 실기시험에서 40~50% 정도만 합격하고 있기 때문에  결코 높은 합격률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죠.

 

 


그렇다면 왜 이렇게 쉽지 않을까요.
바로 그 이유는 토목기사 시험과목을 확인해 보면 어느 정도 이유를 알 수가 있는데요.
필기시험과목은 응용역학, 측량학, 수리학 및 수문학,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토질 및 기초, 상하수도공학까지 각 과목당 객관식 20문제씩 총 120문제를 풀이하게 됩니다.
보시면 과목수도 많지만 각 한 과목 한 과목의 전문성이 높은 과목이다 보니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이에요.

토목기사 실기시험의 경우에도 토목설계 및 시공 실무 과목으로 필답형으로 진행되고 계산문제는 물론 서술형 문제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만만치가 않고요.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빠르게 시작하시는 게 좋습니다.
전공자라 하더라도 최소 3~4개월 이상은 집중적으로 학습해야만 필기시험과 실기시험까지 자연스럽게 동차 합격할 수가 있죠.

물론 비전공자라고 한다면 무리하게 필기 실기 다 합격을 생각하기보다는 먼저 충분한 시간을 두고 토목기사 필기시험에서 합격한 뒤에 실기시험은 여유를 갖고 접근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입니다.

 


토목기사 시험과목 공부 진행 시에는 가능하면 연계도가 높은 과목들을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인데요.
연계성이 높은 과목을 보면 응용역학 그리고 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를 들 수 있을 듯하고요. 수리학 및 수문학 그리고 토질 및 기초도 연계성이 높은 과목입니다.

특히 시공 부분이 중요한데 실기시험에서 대부분의 문제가 시공에서 출제가 되는 만큼 토목기사 필기 시험 준비 시부터 집중해서 공부한다면 필기에서 실기까지 수월한 학습이 가능하실 거예요.

 

 


그리고 전공자라고 하더라도 가능하면 독학보다는 정말 꼼꼼하게 따져서 좋은 강의를 선택해서 활용하는 것이  확실하게 단번에 합격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특히 응용역학은 단순히 암기로 해결되는 과목이 아니고 이해가 되지 않으면 과락이 발생하기 쉬운과목인만큼 최소한 단과 강의라도 인강 등의 강의를 통해서 확실하게 이론을 다지고 준비하신다는 생각으로 준비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